Space is a specialized architectural monthly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66 and has been at the vanguard of covering the arts and culture scene here in Korea ever since. The magazine features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cross the spectrum of the fine arts. Space offers its readers a wide variety of architectural news throughout Korea, in Asia, and the world in general. Space has been officially listed on the Art & Humanities Citation Index of Thomson Reuters. 월간 SPACE는 1966년에 창간되어 한국의 건축문화 및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잡지로 성장하여 2008년 1월호 부터는 미국 톰슨로이터의 예술/인문학 인용색인에 등재되어 국제적으로도 인증 받는 건축전문잡지로서의 자리메김 하고 있습니다. 월간 SPACE는 미국 및 전세계 주요 국가의 서점 및 온라인을 통해 메거진을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This is a bi-lingual title in English and Korean
Space
중국 근현대건축사의 길목에서 만난 장융허
News
The Scent of Korean Ink Emanating from France: Goam Cultural Heritage Complex
한국 근현대 건축역사의 흐름을조명하다: ‘안창모의 도시건축사 강좌시즌4’ Tracing the Flow of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Ahn Changmo’s Urban Architecture History Lecture Series, Season 4’
설계공모당선작 세개발표 Announcing Three Winners of Design Competitions
SPACE Peer Review
Field News
Book
Between Two Modernities in Chinese Architecture: Chang Yung Ho 중 국 건 축 의 두 모 더 니 티 사 이 에 서: 장 융 허
탐멜라 스타디움 제이케이엠엠 아키텍츠 Tammela Stadium JKMM Architects
통의동 어반 오아시스 황두진건축사사무소 Doojin Hwang Architects Tongui-dong Urban Oasis
새로운 시간의 축을 만들어내는: 더일마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 Creating a New Temporal Axis: The THEILMA Seoul Flagship Store
배경이 아닌 어떤 것: OMA 시노그래피, 2025 이슬람 예술 비엔날레 Something Other than a Backdrop: OMA Scenography, Islamic Arts Biennale 2025
점유자를 위한 설계:어반 싱크탱크의임파워 모델 Design for Occupants: The Empower Model by Urban-Think Tank
공공 프로젝트의 절차적 정당성을 묻다: 통인시장 아트게이트 Rethinking Procedure in Public Projects: Tongin Market Artgates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기념 인터뷰5 Interview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5
언제 어디서든 잘 자라는: 김선아, 이수빈 Thrives Anytime, Anywhere: Kim Seona, Lee Soobin